2023 내일,아트_6학년
-
[wwa/우리는 누구인가?] 역사와 리더쉽42023 내일,아트_6학년/6학년 IB수업 2023. 11. 7. 22:17
이번에는 그래프를 가지고 수업을 하였다. 이것은 예전에 '역사수업연구소 관쌤' 블로그를 보고 그대로 수업에 적용한 사례이다. (역사 수업 정말 강력추천!) #국가 라는 키워드를 주고 그래프를 그렸다. 그 다음 아이들에게 이에 대해 알 수 있는 사실을 써보라고 하였다. 개인별로 포스트잇을 주고 써본 후 친구들과 이야기해보고 팀별결론을 내어보았다. 되게 재미있는 의견이 많았다. "국가는 자석이다." 는 국가간에 추구하는 방향성이 같고(정복) 그것이 마치 서로 같은 극끼리 밀어내는 것 같았다. 결국 승자는 나머지 나라를 흡수하는데 그것은 자석처럼 착! 붙는 것 같다. 라고 한 아이도 있었고, 통일과 분단이라는 키워드를 이용해서 쓴 친구들이 있었는데 지금 현재도 이렇게 계속 전쟁으로 분단되고 통일되고 이런 과정..
-
[wwa/우리는 누구인가?] 역사와 리더쉽32023 내일,아트_6학년/6학년 IB수업 2023. 11. 7. 22:08
이전 시간에 아이들이 만든 질문을 토대로 수직선 토론을 하였다. 읽어보니 애매한 부분이 많았다. 생각해보면 아무리 후기 말이라도 조금은 대비를 하긴 했겠지만 낸 세금에 비해 턱없이 매우 부족했을 것이다. 그 부분에 대해 포인트를 짚어주기 위해 문제를 다시 수정했다. 통일신라 후기에는 자연재해에 대한 대비책이 확실하게 세워졌을까? 그로 인해 백성들의 삶은 좀 나아졌을까? 처음에 분명 '그렇다'라고 한 친구들이 매우 많았는데, 질문을 구체적으로 바꾸어주니 대부분이 '아니다'라고 주장하였다. 역시 질문은 구체적이어야 함을 다시 한 번 느끼게 되었다.
-
[wwa/우리는 누구인가?] 역사와 리더쉽22023 내일,아트_6학년/6학년 IB수업 2023. 11. 7. 22:01
이번에는 삼국시대를 통일한 신라가 후기에 왜 망해갔는지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는 수업을 하였다. 이 수업은 예전 학교에서 공개수업으로도 했었는데 내 기준 정말 의미가 있었던 수업이라 조금 수정해서 협력수업으로 바꾸어 자료를 수정하고 수업을 진행하였다. (https://nabongclass.tistory.com/94) 1. 통일신라 왕의 계보를 활용하여 전기.중기.후기 나누기 2. 자연재해 데이터를 통해 백성들의 삶 상상하기 3. 신라 계급제도의 문제점을 (see.think.wonder)로 생각해보고 다른 팀에가서 정보 얻어오기 1,2번은 링크 속 수업과 동일하게 진행하였고, 3번은 세 개의 팀으로 나누어 각자 다른 데이터를 분석하고 다른 팀 친구들에게 분석 결과를 알려주는 활동으로 진행하였다. 3번 활동>..
-
[wwa/우리는 누구인가?] 역사와 리더쉽12023 내일,아트_6학년/6학년 IB수업 2023. 11. 7. 21:45
⭐️ 중심 아이디어: 시대가 추구하는 가치에 따른 인간의 행동은 국가의 발전을 이끈다. 대안학교이기 때문에 수업시수가 다른 학교보다 꽤 많이 적다. 그러다보니 다른 공립학교에서 해야하는 부분을 하지 못했던 경우가 작년에 꽤 있었다. 또한 교과서 없이 성취기준을 토대로 프로젝트 수업을 구성하고 실행하다보면 성취기준을 다 못채운 경우도 있었다. 그래서, 이번 6학년 아이들은 역사를 바탕으로 리더쉽의 자질을 탐구하는 방향으로 '우리는 누구인가' UOI를 구성하게 되었다. (예전 학교에서 아이들이 내 역사수업을 꽤 좋아했었기에 좀 자신이 있다구) 모든 내용을 다룰수는 없기에 아침 활동에는 '용선생 한국사'를 읽으며 넘어가고 .. 이번 수업에서는 각 시대별 국가가 왜 멸망이 다가왔는지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고 그에..
-
[ib 학급경영] 우주 관련 케이팝 아침활동 필사2023 내일,아트_6학년/IB 학급 경영 2023. 8. 29. 20:37
*필사 파일은 맨 아래에 있습니다. 3쿼터 주제가 소우주이다보니 스스로 자작곡을 써야하는데 갑자기 써보라고 하면 분명 힘들어 할 것 같아 아침활동으로 빌드업을 시키는 중이다. 1. 노래를 들으며 필사를 하고 2. 왜 이 노래 제목이 **인지 생각해본 후 3. 가장 마음에 드는 구절과 이유를 써보기 처음 시작을 윤하의 블랙홀로 잡았는데 너무 어려워서.... 내년에 또 하게 된다면 쉬운 곡부터 찾아야겠다고 생각이 들었다. 확실히 노래를 그냥 듣는 것 보다 그 가사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니 아이들이 그 의미 찾는 것에 엄청난 에너지를 쓰는 것 같다. 다 쓰고 난 후에는 모둠별로 토의 후 한 명이 발표한다. 첫날이라 부담은 주지 않았다. 못 쓴 친구는 다 쓴 친구의 이야기를 듣고 추후에 써서 제출하는 형식으로 ..
-
[3쿼터] 나의 작은 우주 '소우주' 프로젝트 개요2023 내일,아트_6학년/6학년 IB수업 2023. 8. 24. 17:47
초등시절 그리스. 로마 신화와 셰익스피어를 참 많이 읽었었는데 요즘은 너무 재미있는 콘텐츠들이 많아서 그런지 고전을 읽는 아이들이 많지 않는 듯 하다. 그리고 유튜브가 있기 때문에 책을 잘 안보는 것도 있고... 내가 고전을 꼭 해보고 싶었던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인류의 변하지 않는 가치 2. 그 당시 인류의 욕망 3. 과거와 현재 인류의 관점의 차이 그래서 고전 인문 수업을해보자!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어떻게 엮을까 고민 중에 6학년에 과학 우주단원과 사회 세계 지리 단원이 있었기에 이 것을 바탕으로 우주 프로젝트를 계획하였다. 🌍 초학문적 주제: 우리가 속한 공간과 시간 🌍 학습자상: 사고하는 사람, 지식을 추구하는 사람, 성찰하는 사람 🌍 핵심개념: 관점, 기능, 관계 🌍 중심 아이디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