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6학년 PYP/우리가 속한 시간과 공간
-
[개념기반탐구학습_전이하기] 사회의 변화를 고려한 건축물 제작하기2024 6학년 PYP/우리가 속한 시간과 공간 2024. 11. 23. 11:21
아이들은 그동안 탐구한 것들을 바탕으로 개념을 전이하여 사회의 변화를 고려한 건축물을 제작하는 활동을 진행하였다. 순서는1. 세계의 신문기사를 읽고 나타나는 문제점을 파악한다.2.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국가의 상황에 맞는 건축물을 제작하는 계획서를 작성한다. 계획서 작성 후 미리캔버스로 발표자료를 제작.3. 다양한 재료로 건축물을 창의적으로 표현한다. 4. 평가하기 다음은 우리반 아이가 [이스라엘의 전쟁 상황]에 맞는 병원을 건축한 것을 설명하는 발표자료 다음은 문명게임에서 열대몬순기후 국가를 운영했던 우리반 아이의 방글라데시 홍수 대비 건축물 제작 발표자료
-
[개념기반탐구학습] 현대문명에서의 건축이란2024 6학년 PYP/우리가 속한 시간과 공간 2024. 9. 20. 14:03
참고 기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698385 미분양 굴욕 10년 후…주민들은 日건축가에 감사편지 보냈다 | 중앙일보"각 개인이 최소한의 전용공간과 최대한의 공용 공간을 갖는 공동체를 말한다. 개인의 취미나 특기를 다른 사람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주거 공간이 변화하면 이웃이 아www.joongang.co.kr 아이들과 각 문명 제국을 평가하고 마무리한 다음 현대사회로 건너왔다. 현대 문명에서의 건축은 어떤 형태이고, 어떤 목적과 미학을 가지고 있는지 함께 탐구하였다.그래서 이번 파일 속 지문을 통해 건축계의 노벨상인 프리츠커 상을 2024년에 수상한 일본 건축가에 대해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 그 후에 전이하기로 들어가려고 계획 중이다. ..
-
[개념기반탐구학습] 만들었던 질문으로 평가하기2024 6학년 PYP/우리가 속한 시간과 공간 2024. 9. 20. 13:59
아이들이 uoi초반에 만들었던 질문을 바탕으로 계속해서 문명을 건설해서 나아갔고 드디어 중세 문명을 벗어 르네상스로 오면서 마무리를 하며 각 문명을 평가하는 시간을 가졌다. 아이들은 문명이 발전하려면 자원을 이용한 산업과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그와 관련하여 발전을 한 문명(국가)을 높게 평가하였다. 그러면서 다시 초창기에 아이들과 만든 질문을 꺼내면서 아이들과 함께 문명수업을 통해 깨달은 내용과 관련한 질문은 차분히 지워나아갔다. 그랬더니 남은 질문은 다음과 같았다. 1. 건축은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가?2. 미래의 건축은 어떻게 될까?였다. 건축은 사회를 변화시키는가와 관련하여 아이들의 이야기가 궁금해서 물어보았더니 다음과 같은 멋진 자신의 생각을 써나아갔는데... 아이..
-
[개념기반탐구학습_조직 및 정리하기] 문명 지도 제작하기2024 6학년 PYP/우리가 속한 시간과 공간 2024. 9. 13. 12:18
아이들은 자신이 가진 천연자원과 발표를 통해 나온 산업(기술)을 가지고 무역을 할 수 있다. 팀별로 건축물 미션을 주었는데 건축물을 갖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무역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포스트잇 안에 모둠별 작전을 짜고 그에 맞게 무역활동을 시작하였다. 이렇게 거래가 성사되었고! 칠판 앞에는 이렇게 맵에 가지게 된 자원을 써주었다. 그 후로 아이들은 개인별로 미션 수행(건축물 짓기)을 통해 건축물 디자인을 노트에 해보고 정리하였다. 칠판 앞에 공간에 하는 것도 좋지만 아이들이 직접 지도를 제작해보면 좋지 않을까 하여 그 다음엔 나라별로 지도를 만드는 활동을 하였다. 나라의 자연환경과 산업을 하는 장면을 그리고 그 후에는 건축물을 그린 다음 붙여서 발표하는 방식으로 활동을 전개하였..
-
문명 수업에 대한 고찰2024 6학년 PYP/우리가 속한 시간과 공간 2024. 9. 13. 11:42
문명 수업을 하면서 내년에는 어떻게 수정해야 할지 어느정도 실패도 하면서 가닥이 잡히는 중이다. 일단, 내년의 경우 문명을 건설할 때에는 시기에 맞게 내가 과제를 부여하고 그 안에서 탐구하여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하여야 좀 더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 같다. 나라별 상황에 따라 지급되는 점수 체계는 유지하지만 미션을 주는 것에 있어 나라별로 다르게 주지 말고 같은 맥락안에 나라의 상황에 맞게 아이들이 문명을 만들어가야 함을 이번에 하면서 느끼게 되었다. (일단 내가 너무 힘들다..) 내년에 이 수업을 한다면, 1. 문명 속에서 자연환경과 기후 탐구하기 + 의식주 탐구하기, 지도 만들기, 의식주 문화 만들기2. 문명 속 왕 선정 및 건국 설화 만들어보기3. 전쟁 - 종교 미션을 통해 문명 만들기(중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