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 제작 자료
-
에듀테크로 ATL 하위 기능 알아보기ib 제작 자료 2024. 6. 13. 13:29
아날로그를 좋아하지만 에듀테크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에듀테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속가능성인데 무슨 뜻이냐면 선생님이든 아이들이든 누구나 쉽게 쓸 수 있도록 접근 가능성이 크거나 배우는 시간 투자 대비 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계속해서 쏟아지는 다양한 에듀테크 도구들은 이젠 너무나 많은 피로감을 주고 있기에 이제는 내가 대충 써보고 아니다 싶은 것들은 그냥 버리는 편이다. 이러한 이유들로, 나는 패들렛과 캔바, 영상 제작 툴, 스케치북 어플 정도만 아이들에게 가르치고 있다. (물론 때에 따라서 필요한 것들은 가끔 꺼내서 쓰는 편,, 비바쌤 에듀테크 테마관이나 샌드스피얼 같이 교과와 연결되어 탐구를 이끄는 간단한 도구 정도..)하지만.. 이러한 툴들은 무료도 있지만 유료도 상당히 ..
-
[ib chat봇] GPT로 IB 교육을 커스터마이징하다.ib 제작 자료 2024. 5. 29. 12:35
GPT 주소: https://chatgpt.com/g/g-jPPd5MDEe-pyeonsigwangnyaongiyi-ib-pyp-baeggwasajeon ChatGPT - 편식왕냐옹이의 IB PYP 백과사전초등 IB PYP 전문가, 용어 설명과 교육과정 제안chat.openai.com 역시나 인간은 불편함을 느껴야 발전한다는 걸 또 깨닫게 된다. 우리반은 다양한 배경의 아이들이 매우 많아 매번 IB 교육이 복잡하게 일어나는 수업 시간에파파고로 이주배경 아이들에게 번역하는 건 매우 큰 한계였다. 첫번째 불편함은 3개국 아이들에게 돌아가며 번역하는 번거로움이었고두번째 불편함은 생각보다 아이들이 용어를 번역해줘도 그 용어를 배운적이 없었기 때문인지 그 용어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였다. 민주주의를 번역..
-
[성찰하기]아날로그 교사의 성찰학접기 수업ib 제작 자료 2024. 5. 28. 19:02
어렸을 때 나는 주의집중력이 많이 부족해서 장난치기 바빴는데 그걸 알았던 어머니는 나의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나를 끌고 피아노 학원, 기타학원을 다니게 했다. 집에 들어와서는 색종이접기를 엄청 많이 하기도 했는데 어렸을 때 유행했던 학접기에 한창 빠져서 헤어나오지 못했던 기억이 난다. 그 추억(?)을 되살리며 아이들과 성찰을 하면서 즐겁게 종이접기를 해봐야겠다 아이디어가 떠올라 성찰학 활동을 하게 되었다. 다이소에서 1000원짜리 긴 통을 산 다음 아이들에게 스티커를 나누어주며 꾸며보고 1년 동안 너희의 성장과정을 기록할 성찰학통이라고 소개하며 교실 활동으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예전에 썼던 걸 영상을 찍었었는데 확실히 1달 전에 쓴 내용과 지금 내용의 성찰이 확연하게 달라진 걸 느낄 수 있..
-
[ib 학습자상] 학습자상 증진을 위한 창의 글쓰기ib 제작 자료 2024. 4. 21. 15:02
ib 워크숍을 최근에 다녀오고 나서, 갑자기 아이디어가 떠올라 만들게 된 자료.[다했어요-다했니]를 어떻게 좀 더 문해력과 관련하여 연결지어 과제를 주면 좋을까 고민하다가 만들게 된 자료이다. 이제는 앞으로 이걸로 아이들의 사고의 확장을 일으켜 볼 예정이다. 물론, 가정에서 많은 지원이 되는 친구, 스스로 할 수 있는 힘이 있는 친구는 알아서 말하지 않아도 가정 학습을 하지만 공립학교이기에 그렇지 않은 친구들도 꽤 많다. 그래서 답답하기도 하면서, 한편으로 부모님들의 마음이 이해가 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분이 한정적일 때가 많아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가정과의 연계를 위해 클래스팅으로 최선을 다해서 소통을 하는데도 내가 너무 부모님들께 많은 것을 요구해서 피곤해하시지 않을까 걱정도 되는 마음이 있다..
-
[SEE.THINK.WONDER] 관찰을 통해 생각을 이끌어내기_활동지ib 제작 자료/생각을 이끌어내는 교수자료 2024. 4. 4. 21:17
인스타그램에서 더 많은 IB 자료와 교실 공간 환경 구성을 빨리 보실 수 있으십니다. www.instagram.com/pyeonsik_nyaong 많은 IB 학교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하는 SEE,THINK, WONDER. 수없이 많은 아이디어를 이끌어내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가장 간단하고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활동이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는 것 같다. SEE는 관찰을 하고 보이는 것을 쓰는 것, THINK는 그 과정을 통해 파생되는 나의 생각, WONDER는 확산적 질문하기이다. 메타인지를 확산시키는 방법에 이러한 방법들이 많이 쓰이고 국어 교과에도 이러한 활동들이 있지만 이러한 기법이 한번에 정리가 되어진 채로 하나의 활동으로 만들어지니 훨씬 쉽게 다가오는 것 같다. 그림은 , 연수에서 얻은..
-
온라인 포트폴리오 만드는 방법 (feat. 클래스팅)ib 제작 자료 2024. 3. 17. 00:15
(instagram.com/pyeonsik_nyaong 계정에서 빠르게 확인하실 수 있어요!) 우리 학교가 처음 세워질 때부터 고민했었던 온라인 포트폴리오. 어떻게하면 아이들의 온라인 포트폴리오를 계획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지 모두 고민하였고 첫 해에는 그에 따라 알로(allo)를 썼었고 , 다음 해에는 개인적으로 구글 드라이브/미리캔버스를 활용하였다. 하지만 모두 장 단점이 명확했기에 올해는 좀 더 학부모-교사-학생 모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플랫폼이 무엇일까 고민하다가 나온 것이 클래스팅이다. 클래스팅에 아이들 개인 폴더를 형성하여 그 폴더는 해당 학생과 학부모님만 볼 수 있도록 지정할 수 있다. 공간 이름에 아이 번호와 이름을 쓰고 비공개공간으로 꼭 설정한 후 구성원을 선택하면 완료! 그리고 우리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