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UOI 성찰하기_ 계속 발전해 나아가는 중..
    생각을 이끌어내는 교수자료 2024. 7. 6. 11:51

    우리 교실은 매 수업 끝나고 성찰을 하려고 노력한다. 그것이 함께 이야기해보는 것도 있고 글로 쓰는 것도 있고.

    작년의 경우 글을 잘쓰는 아이들이 많았지만 발표를 시킬 필요가 있어 주로 발표로 성찰을 많이 했다면 

    올해는 작년과 다른 경우로 발표는 열심히 하지만 글로 생각하고 정리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느껴 글로 많이 쓰게하는 편이다. 

     

    내가 가장 많이 하는 성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성찰학

    탐구노트에 쓸까 생각해보다가 좀 더 의미있고 시각화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 있을까 생각해 낸 방법이다.

    개인별 성찰학통이 있고(다이소에서 구매) 수업시간에 배운 것을 바탕으로 그 날 무엇을 배웠는지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생각과 느낌을 쓰게 한다. 각 uoi가 끝날 때마다 학종이가 아닌 일반 색종이로 적게 하고 평소에 하는 성찰은 학종이로(손바닥 바닥사이즈 정도) 적고 검사받은 후 접어 넣는다.

     

    2. 성찰 보석

    어떤 주제에 관련지어 어울리는 색상지를 선택하고 그에 맞게 모양을 만들어 성찰 보석을 만들고 글을 써서 문에 붙이는 형식이다. 간단하면서도 색상.모양과도 아이들이 연결짓기 때문에 좀 더 주제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다.

     

     

    3. 성찰 리포트(영상)

    준비물: 핸드폰, 마이크(핸드폰 연결되는), 핸드폰 거치대

     

    핸드폰 남는 것이 있는데 그 핸드폰을 설치하고 쉬는시간마다 내가 무엇을 배우고 느꼈는지 개인별로 영상을 찍는 활동이다. 가장 아이들이 좋아하는 활동 같은데 처음에 내가 인터뷰를 진행하다가 힘들어서 알아서 하라고 놔두니까 아이들끼리 인터뷰하면서 영상을 찍기도 한다. 인터뷰를 이끄는 아이들은 친구들 한명씩 체크하면서 안 한 친구를 데리고 와서 인터뷰를 진행하기도 하는데 그 모습이 참 인상적이었다. 

     

    4. 오늘 나의 이해도는?(시작-발전-능숙 으로 그 날 배운 내용 이해도 표시하기)

    평소 아이들의 이해도를 보기 위해서 설치했다. 그래서 이해가 안되는 친구들은 개인적으로 개념을 좀 더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해도가 높은 친구들은 더 발전해서 어떻게 하면 좋을지 질문을 많이 던져주는 편이다.

     

    내용 다시 수정했지만..사진이 이것밖에 없다..ㅠㅠ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