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 초등3 우리 학교에는 디자인 업무가 있다. 2019~2021년, 경기 북부 어느 작은 학교에서 근무했을 때 Wee class 상담실 운영과 이중언어강사 선생님 업무가 나의 업무였다. 그리 어렵지 않은 업무였고 돈만 쓰는 것이라서 ...뭐... 하지만 그 공간은 위클래스와 한국어교실이 동시에 운영되었기에 어떻게 공간을 구성해야 할 것인지 항상 고민했다. (뿐만 아니라 그 공간은 가벽으로 구분되어 한쪽은 학교 청소하시는 분들 + 각종 다목적실+여자휴게실 처럼 쓰이고 있었다.) 뭐... 아무튼, 그래서 겉에 환경판을 제작해야 했었는데 다문화교육+위클래스 관련 내용이 들어가야 해서 어떻게 디자인해야 할 것인지 아이패드로 그림을 그렸고 그에 맞게 다시 잘 디자인해서 시공할 수 있는 곳을 물색하기 시작했다. 그러다 파주 어느 학교에서 한 시공사진을 보고 반.. 2024. 6. 1. [규칙정하기3] 우리들의 공동선언문 만들기; 교실에서 지켜야 할 말과 행동 (instagram.com/pyeonsik_nyaong 계정에서 빠르게 확인하실 수 있어요!) 저번에 만들었던 규칙은 공간 사용에 대한 규칙이라면, https://nabongclass.tistory.com/203 [규칙 정하기 1] 공간 탐방 및 공간 규칙 정하기 이 방법으로 공간 이름만들기, 규칙, 1인 1역까지 한 번에 해결했을 정도로 이 방법은 지금까지의 학급경영 중 단연 최고였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1. 먼저 내가 꾸며놓은 공간을 아이들에게 2 nabongclass.tistory.com 이번 규칙은 나의 생활태도에 대한 규칙이다. 이 규칙만들기는 매년 하는 활동이었지만 그다지 잘 활용이 되지 못했었다. 아이들이 이 활동을 어떤 선생님을 만나건 매년 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잘 지켜지지 않는 .. 2024. 3. 16. [ib 교육/ pyp] atl 개념 전 체크리스트 IB 연수를 들으면서 내가 가장 간과했던 atl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느끼게 되었다. 그래서 아이들과 함께 다시 한번 각 기능별로 자신의 기능이 어디까지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를 만들어보았다. 그 다음에는 각 칸마다 5점 만점으로 점수화시켜 각 기능별 20점 만점이 되게 하여 나의 역량의 수준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6학년은 ?/20을 분모가 100이 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점수화시키기도 훨씬 수월했다. 각 기능별로 점수화시킨 후 포스트잇으로 이렇게 수직선에 자신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우리반에는 유리창이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얇은 마스킹 테이프들을 붙이기가 너무 수월했다. 이제는 각자의 1달 역량 챌린지를 계획한 후 다했어요에 계획한 것을 실행하는 일기를 써볼 예정이다.. 2023. 5. 25. 이전 1 다음